한계소비성향(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MPC)은 소득이 1단위 증가할 때 소비가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이는 개인의 소비 습관뿐만 아니라 정부의 재정정책 효과를 분석하는 데 핵심적인 지표입니다.
1. 정의 및 계산식
한계소비성향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MPC = ΔC / ΔY
- ΔC: 소비 증가분
- ΔY: 소득 증가분
예를 들어, 소득이 100만 원 증가하고 소비가 80만 원 증가했다면 MPC는 0.8입니다.
2. 특징
- 0과 1 사이의 값: 전체 소득을 모두 소비하지도, 모두 저축하지도 않기 때문
- 소득 수준에 따라 변화: 저소득층은 MPC가 높고, 고소득층은 낮은 경향
- 국가별·시기별 차이 존재: 문화, 정책, 경기 상황에 따라 달라짐
3. 경제학적 중요성
- 승수효과 결정: MPC가 클수록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가 커짐
- 정책 효과 분석: 재정지출이나 세금 환급의 소비 유발 효과 예측에 활용
- 소득 재분배의 근거: 저소득층의 MPC가 높기 때문에 이전소득 확대는 소비 증가로 직결됨
즉, MPC는 소득 증가가 소비로 얼마나 이어지는지를 판단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4. 관련 개념: 한계저축성향(MPS)
한계저축성향(Marginal Propensity to Save, MPS)은 추가 소득 중 저축에 돌아가는 비율을 의미하며, 다음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MPC + MPS = 1
예를 들어 MPC가 0.75이면, MPS는 0.25입니다. 이 관계는 가계의 소득 배분 구조를 설명합니다.
결론
한계소비성향은 경제의 소비 성향과 정책 전달 경로를 이해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소비가 경제의 큰 축을 이루는 만큼, MPC 분석은 경기 부양책, 세제 설계, 복지 정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하게 활용됩니다.
📌 태그:
#한계소비성향
#MPC
#승수효과
#재정정책
#소득분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