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8 퓨리오사AI RNGD 칩의 핵심 특징 RNGD (Renegade)는 퓨리오사AI가 개발한 2세대 AI 추론용 칩으로, 차세대 AI 연산 환경을 고려한 고성능·저전력 반도체입니다. 이 칩은 특히 대형 언어 모델(LLM) 및 데이터센터 배포에 최적화된 설계가 특징입니다.1. 텐서 연산 특화 아키텍처 TCP 기반 구조: Tensor Contraction Processor를 채택하여, 기존의 행렬 곱셈(matmul)을 넘어선 고차원 텐서 연산에 특화 연산 효율성 극대화: AI 추론에 최적화된 병렬처리 구조2. 뛰어난 연산 성능 FP8 연산: 512 TFLOPS INT8 연산: 512 TOPS 전력 소모: 18W에 불과 메모리: HBM3 48GB 탑재, 1.5TB/s 대역폭이러한 수치는 동일 전력 대비 엔비디아 H100보다 3배 이상 효율.. 2025. 4. 14. 가격차별의 예: 동일한 상품, 다른 가격 가격차별(Price Discrimination)이란 동일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서로 다른 소비자에게 서로 다른 가격에 판매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독점적 또는 과점적 시장에서 이윤 극대화를 위해 사용됩니다.1. 제1급 가격차별 (완전 가격차별)소비자의 지불의사 최대치에 맞춰 개별적으로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입니다. 예: 경매, 중고차 판매, 변호사·의사 상담료(개별 협상) 특징: 소비자 잉여가 거의 없고, 판매자는 최대 이윤 확보 가능2. 제2급 가격차별 (수량에 따른 가격차등)구매량에 따라 단가가 달라지는 경우로, 소비자가 스스로 가격 수준을 선택하게 만듭니다. 예: 대형마트의 묶음 할인, 전기 요금 누진제, 통신 데이터 요금제 특징: 가격은 고정되어 있지만, 구매량에 따라 실질 단가가 변.. 2025. 4. 14. 마샬의 K란?: 통화수요를 설명하는 핵심 계수 마샬의 K(Marshallian k)는 사람들이 일정 기간 동안 보유하고자 하는 화폐량이 소득에 비례한다는 가정 하에 정의된 화폐수요 계수입니다. 고전적 통화이론과 구분되는 화폐의 유효수요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통화량과 명목소득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1. 마샬의 K의 정의영국의 경제학자 앨프리드 마샬(Alfred Marshall)은 화폐수요가 거래 목적에 따라 일정한 소득 비율로 결정된다고 보고 다음과 같은 식을 제안했습니다.M = k × PY M: 유통되는 통화량 k: 마샬의 K (화폐 보유 성향) P: 물가 수준 Y: 실질 국민소득여기서 K는 사람들이 소득의 몇 배 만큼 화폐를 갖고 있으려 하는지를 나타냅니다.2. 통화이론과의 연결마샬의 K는 화폐의 유통속도(V)의 역수라는 점.. 2025. 4. 11. 한계소비성향이란?: 소득이 늘어날 때 얼마나 소비할 것인가 한계소비성향(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MPC)은 소득이 1단위 증가할 때 소비가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이는 개인의 소비 습관뿐만 아니라 정부의 재정정책 효과를 분석하는 데 핵심적인 지표입니다.1. 정의 및 계산식한계소비성향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MPC = ΔC / ΔY ΔC: 소비 증가분 ΔY: 소득 증가분예를 들어, 소득이 100만 원 증가하고 소비가 80만 원 증가했다면 MPC는 0.8입니다.2. 특징 0과 1 사이의 값: 전체 소득을 모두 소비하지도, 모두 저축하지도 않기 때문 소득 수준에 따라 변화: 저소득층은 MPC가 높고, 고소득층은 낮은 경향 국가별·시기별 차이 존재: 문화, 정책, 경기 상황에 따라 달라짐3. 경제학적.. 2025. 4. 11.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